세종시교육청은 7일 16개 시‧도교육감이 공동으로 실시한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(전수)조사 결과를 발표했다.

이 조사는 관내 101교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 42,703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11일부터 5월 8일까지 4주 동안 온라인으로 실시됐으며, 조사 대상 학생 중 38,862명(참여율 91%)이 참여했다.


조사 결과, 학교폭력 피해응답률은 2.1%(826명 응답)로 2021년 1차 조사 대비 0.6%p 증가했다.


4개 연도를 비교해 보면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9년 2.2%, 첫해인 2020년 1.2%, 2021년 1.5%로 2022년은 코로나19 상황 이전인 2019년과 비슷했다.

학교급별로 초등학교 4.2%, 중학교 1.2%, 고등학교 0.3%로, 2021년 1차 조사 대비 초등학교 0.9%p, 중학교 0.7%p 증가, 고등학교는 전년과 동일했다.

초등학교가 제일 높고,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감소하는 것은 매년 동일하게 나타나는 결과로,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폭력 민감도가 높고 발달단계 상 장난이나 사소한 괴롭힘 등이 빈번히 발생하며 이를 학교폭력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.

응답 건 수(중복 응답 포함) 기준 학교폭력 피해유형 별 비중은 언어폭력(41.4%)이 가장 높았고, 집단따돌림(14.4%), 신체폭력(13.7%), 사이버폭력(9.6%) 등 순으로 조사됐다.


신체폭력은 학교급이 낮을수록 비중이 높고, 언어폭력은 고등학교, 초등학교, 중학교 순으로 비중이 높으며 집단따돌림과 사이버폭력은 중학교에서 비중이 가장 높았다.

전체 가해응답률은 0.7%(264명 응답)로 2021년 1차 조사 대비 0.3%p 증가했다.

학교급별로 초등학교 1.4%, 중학교 0.4%, 고등학교 0.1%로, 2021년 1차 조사 대비 초등학교 0.6%p, 중학교 0.2%p, 고등학교 0.1%p 증가했다.

전체 목격응답률은 4.8%(1,864명 응답)로 2021년 1차 조사 대비 1.7%p 증가했다.

학교급별로 초등학교 8.4%, 중학교 3.7%, 고등학교 0.9%로, 2021년 1차 조사 대비 초등학교 2.6%p, 중학교 1.8%p 증가하고, 고등학교는 전년과 동일했다.

김동호 민주시민교육과장은 “학교폭력 근절은 우리 아이들의 행복한 학교생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”라며,

“앞으로도 우리 지역에서 발생하는 학교폭력 유형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학교폭력 예방과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”라고 말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