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충남 1호 영업사원’인 김태흠 지사가 새해 첫 해외 출장지로 글로벌 경제 중심지인 미국을 선택, 외자유치와 해외시장 개척 전진기지 가동에 나선다.
도에 따르면, 김 지사는 △글로벌 기업 투자협약 체결 △2025 국제전자·제품박람회(CES) 참가 △베이밸리-실리콘밸리 접목 및 발전 방안 모색 △재외동포 유치 업무협약 체결 △미국사무소 개소 등을 위해 6박 8일 일정으로 8일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.
이번 출장을 일정별로 보면, 김 지사는 8일 오후(이하 현지시각) 미국에 도차하자마자 앙코르 앳 윈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글로벌 탑 브랜드 어워즈·소비가전 리더스 서밋에 참가한다.
세계 최대 테크놀로지 미디어·데이터·마케팅 서비스 기업인 인터내셔널데이터그룹(IDG)이 주최하는 이 행사는 글로벌 가전제품산업의 오스카상으로 불리고 있다.
이날 초청 인사로 행사에 참가하는 김 지사는 시상식에 앞서 연단에 올라 대한민국 경제 중심 충남을 세계 무대에 알릴 예정이다.
방미 둘째 날인 9일에는 미주한인상공회의소 총 연합회 임원진과 간담회를 갖고, CES 행사장으로 이동해 글로벌 기업과 올해 첫 투자유치 포문을 연다.
이 투자협약은 특히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두고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가중되고, 국내적으로는 고환율·고물가·내수 침체 등으로 어려움이 큰 상황에서 거두게 될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.
투자협약에 이어서는 CES 다국적 기업 전시 부스를 찾아 글로벌 경제 동향을 살피고, CES에 참가한 도내 대학 총장과 간담회를 진행한다.
이날 오후에는 또 6년 연속 CES 혁신상 수상 학생창업기업을 배출한 한서대가 마련하는 ‘CES2025 글로벌 산학협력 포럼’에 참가한 뒤, 충남관을 찾아 도내 참여 기업을 격려한다.
CES는 세계 최대 IT·전자 전시회로, 올해는 7∼10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일원에서 열린다.
올해 주제는 ‘다이브 인’으로, 인공지능(AI)이 가전·IT 업계의 혁신을 이끌 것으로 전망되고 로보틱스·모빌리티·스마트홈·디지털헬스 등 혁신 기술이 공개되는 점을 감안했다.
이번 행사에는 세계 158개국 3500여 개 기업이 참가했는데, 우리나라에서는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 번째 많은 1031개 기업이 참가했다.
국내 기업 중 625개 사는 스타트업으로, 전체 1300여 개 기업의 절반에 가깝다.
도내 참가 기업은 △천안 베니라이트·에스프레스토 △아산 카데아·더 줌 웍스·로웨인 △당진 지니스 △홍성 동양테크윈 등 24개다.
10일에는 샌프란시스코로 이동, UC버클리에서 베이밸리 메가시티 발전 방안 토론회를 갖는다.
이 토론회에는 버클리대 학장 등 대학 관계자와 실리콘밸리 전문가 등이 참가, 민선 8기 힘센 충남 1호 과제인 베이밸리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.
11∼12일에는 샌프란시스코와 LA에서 △웨이모 자율주행 로보택시 시승 △실리콘밸리 및 구글 본사 시찰 △LA 현지 시찰 등을 진행, 미국의 앞선 기술력과 선진적인 정책·제도 등을 엿본다.
미국 출장 6번째 날인 13일에는 한미지도자협의회, 충청향우회 총 연합회 등과 손을 맞잡고, 재외동포 충남 유치를 위한 발판을 놓는다.
이어 한인정치인과 간담회를 가진 뒤, 미국사무소 개소를 끝으로 방미 일정을 마무리한다.
도 관계자는 “이번 미국 출장은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‘돈 잘 버는 충남 1호 영업사원’인 김 지사가 세계 경제 중심지를 찾아 글로벌 기업의 ‘돈’을 충남으로 끌어들이고, 세계 최대 시장 공략 다변화를 꾀하며, 충남의 50년·100년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될 것”이라고 말했다.
저작권자 ⓒ BK뉴스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